나라에서는 국방의 의무를 지고 다시 사회로 돌아올 장병들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병역기간 동안 목돈마련 군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모쪼록 이 좋은 혜택을 놓치지 말길 바라며 그 가입방법부터 해지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개요
가입 방법
가입가능한 은행 (총 14곳) 매칭지원정책 |
장병내일준비적금 개요
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나라에서 복무 중인 장병들을 위해 준비된 적금입니다. 제대 후 사회로의 안정적인 첫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금리 적금으로 이점으로는 적극적인 저축습관을 만들고 목돈을 마련하도록 돕습니다. 이 적금은 은행에서 직접 나와 계좌 개설을 도와주기도 합니다. 이때 자금의 출처가 확실하기에 한도의 제한이 없는 계좌들로 만들어 줍니다.
- 가입 대상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해양) 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
- 가입한도
은행별 월 20만원, 개인별 최대 월 40만 원 (은행별 1인 1 계좌만 가입 가능)
- 가입기간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 12개월 이상 ~16개월 미만 | 16개월 이상 |
평균 4.76% (은행이자 3.76%+국가지원 1%) |
평균 5.32% 은행이자 4.32%+국가지원 1%) |
평균 6.04% (은행이자 5.04%+국가지원 1%) |
- 주요 혜택;
6% 수준의 이자 | 연이율 5% 내외의 고금리(12개월)이상, 5.7%(15개월) 만기시 지원되는 정부지원금 1% |
매칭 지원금 | 원리금의 약 71% 추가지원 (22년 33%, 23년 71%) |
전액 비과세 |
월 납입금 40만 원을 18개월 납입(은행 이율 5%) 할 때 만기 원리금에 정부지원이자 1% 그리고 정부 매칭 지원금을 총 합하면 약 1,289만원(비과세 혜택 적용으로 약 596만원의 이득)이 됩니다.
가입방법
본인이 직접 하는 가입하는 방법에는 신병교유기관 (훈련소, 신병교육대대 등)에서 하거나 자대 전입 후(기관 복무 중)에 하거나 자대 배치 후 온라인 비대면을 통해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대리로 가입을 맡기는 방법은 부모님을 통한 방법이 있습니다.
납입 방법 (적금 가입 후 '은행명, 계좌번호'확인 / 메모 필수)
1. 급여 중앙공제
부대(기관)에서 급여를 입금할 때 장병내일준비적금으로 월 납입액을 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 가입월 및 전역(소집해제) 해당월에는 급여에서 중앙공제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개인이 직접 은행(적금계좌)으로 금액을 입금해야 합니다.
- 자동이체
2. 자동이체
본인의 계좌에서 매월 지정한 일자에 장병내일준비적금 계좌로 자동이체
- 신청한 다음날부터 자동이체가 이루어지므로 신청한 당월은 개인이 직접 (적금계좌)로 금액을 입금해야 합니다.
해지방법
- 계약자 본인이 신분증 지참 후 가입한 은행에 방문하여 해지합니다.
- 전역에 따른 만기해지 시 - 전역일(소집해제일) 포함된 서류 제출 필수
- 병역증, 전역증, 병적증명서, 복무사실확인서(대체복무요원 해당) 중 하나를 택 하여 원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 은행별 1부씩, 즉 2개의 은행 해지가 필요하다면 서류 2부가 필요합니다.
가입 가능한 은행 (총 14곳)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제주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우체국 우정사업본부, BNK부산은행, DGB대구은행, Sh수협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BNK경남은행
매칭 지원정책
다음은 매칭 지원금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상 장병내일준비적금, 그 가입부터 해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동안 국방의 의무로 애써주신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여러분 덕분에 우리의 행복이 매일 지켜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고맙습니다. 어서 오십시오.